"실내조감도 유니티에서 만들어보기!"
(스케치업으로 모델링한 파일)
'AutoCAD(*.dwg)'로 그려진 2D도면파일을 바탕으로 'SketchUp(*.skp)'을 통해 모델링하고 재질을 구분한 후 'Unity'에서 구분해 논 재질을 (사실적 재질표현을 위해) 'substance(*.sbsar)'파일의 재질로 교체하는 작업순으로 실시간으로 렌더링되는 (조감도, 투시도, 평면도로 전환가능한) 최종 모델을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추가로 가구도 넣고요!)
*섭스턴스 재질은 share.allegorithmic.com 에서 배포하는 파일을 사용할 것입니다.
*실내 가구의 경우, 도면에 따라 무료 모델링파일을 다운받아 배치할 것입니다.
(간단한 모델은 제작)
[사용 툴 : AutoCAD > SketchUp > Unity ]
(1)스케치업파일 세팅하기
-조감도이미지 만들기_SketchUp에서 Unity로!-
[건축][유니티]_모델하우스 팜플렛 느낌
_유니티에서 스케치업파일 세팅하기
저는 네모네모한 것들 빠르게 만들어서 확인해 볼 때 스케치업 주로 사용하는데, 다들 어떤 프로그램 사용하시나요?
cad로 그린 도면을 스케치업으로 모델링한 후 유니티에 '고대로~' 옮겨보려고 합니다.
-cad 정리 링크 추가-
-스체치업 모델링 링크 추가-
[ 위: 유니티(Unity) | 아래: 스케치업(SketchUp) ]
ㅡ
먼저, 스케치업으로 모델링한 파일을 유니티로 불러들이는 방법입니다.
유니티안에 파일을 불러오는 방법은 파일 잡아 '드래그앤드롭' 입니다!
파일을 잡아 유니티 'project'창으로 드래그 앤 드롭해서 파일을 넣습니다.
(생성한 프로젝트 파일 안 Assets폴더 안에 넣을 파일을 (복붙해서) 넣는 방법/
Assets > Import New Asset... 을 통해 파일을 선택해 넣는 방법/
도 되지만, 위 방법처럼 바로바로 파일 끌어다 유니티에 넣을 수 있으니, 편한방법 선택하세요~)
프로젝트 폴더안에 파일을 넣었으니, 이제 유니티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Scene에 파일을 넣어보겠습니다.
'project'창에 생성된 '파일'을 'Hierarchy'창으로 드래그 앤 드롭 합니다!
('Project'창에 생성된 '파일'을 'Scene'뷰로 드래그 앤 드롭해도 되지만, 위치('Inspector'창 > Transform > Position ) 값이 놓여지는 곳에 생성되기에 관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Hierarchy'창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면, 파일의 모델이 갖는 위치정보값을 그대로 받아오기때문에 관리하기 수월합니다.
하지만, 작고 직관적인 객체(모델)들은 꺼내 배치할 땐 'Scene'뷰로 꺼내는게 쉬울 수도 있어요!)
['드래그 앤 드롭' 방법으로 유니티에 파일넣고 Scene에 꺼내기]
처음 들어온 모습을 보면 스케치업에서 입힌 재질이 표현되지 않은 상태로 들어오게 됩니다. 색상은 표현되나, 이미지 텍스처가 있는 재질들은 흰색으로만 보여집니다.
(따로 설정하지 않으면, 아래와 같은 형태의 모델의 모습이 아닐 것입니다. 원근감이 있는 상태가 기본이기때문에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하단 이미지와 같은 모습으로 작업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편의에 따라 설정해 사용하세요!
좌_유니티 : 'Scene'뷰에서 우측 기지모 아래 'Presp'(perspective) 을 누르면, 'Iso' (isometric)로 변경됩니다.
우_스케치업(한글버전) : 카메라 탭 > 평행투시 선택)
[ 좌: 유니티 | 우: 스케치업 ]
ㅡ
스케치업에서 넣은 재질과 그 모습이 유니티에서도 '고대로~' 보여질 수 있도록 유니티에서 버튼 몇개 눌러보겠습니다.
'Project'창에 불러온 파일을 클릭하면, 'Inspector'창이 파일 안 모델의 속성을 보여줍니다.
[인스펙터 창]
'inspector'창 내 상단부에 'Materials' 버튼을 클릭하면, 모델 속 재질과 관련된 속성들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진한 회색이 버튼 활성화된 상태입니다.)
설정에 한 재질들에 대한 리스트는 존재하고 스케치업 파일안에 재질 값도 가지고 있긴 하지만, inspector 안에 재질이 들어와 있지 않은상태입니다.
또한 Scene뷰를 통해서 재질과 관련된 상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재질의 색에 따른 정보값은 보여지지만, 텍스처 값에 대한 이미지는 아직 보여지지 않습니다.
['Inspector'창 내 'Materials' : 모델에 사용한 재질리스트 ]
'Project'창에 모델을 보면, 재질값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지 설정해 놓은 재질에 아직 들어가 있지 않은 것 뿐이기에 모델에서 재질을 추출해 설정한 재질에 맞게 설정합니다. 가지수가 적으니 손으로 일일이 해도 되지만.........
(처음에는 일일이 설정해주면 안돼요;; 재질들이 비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없어져요)
[ 'Extract Materials'버튼 클릭 전 ]
스케치업에서 구분해놓은 재질에 따라 한번에 스케치업의 재질을 추츨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좀 더 단순한 방법 있지만, 일단 정석으로 하면,)
'Inspect'창에 'Materials 탭에 > Textures : '의 'Extract Textures 버튼을 누르고, 'Textures' 폴더를 만들고 만든 폴더를 선택 한 후 '폴더 선택'을 누릅니다.
(Extract Materials와 방법이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조)
반복해서 Materials 역시 같은 방법으로 생성합니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Inspect'창에 'Materials 탭에 > Materials : " 의 'Extract Materials 버튼을 누르면, 창이 하나 뜹니다.
(경로를 보면, 프로젝트 폴더 내 'Assets' 폴더에 경로가 생깁니다.)
[0:\00\00\project\00\Assets]
'Assets'폴더 내에 'Materials'폴더를 생성하고 Materials폴더를 '폴더 선택'을 합니다.
('Assets'폴더 안에 'Materials'폴더를 생성하고 하는 이유는 추출한 값이 Assets폴더에 보이는 것들이 'project'창에서 보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바로 불러온다면 'project'창에 재질들이 바로 들어오기 때문에 재질만 편히 관리하기 위해 폴더를 생성하고 만들어줍니다. 그럼 재질폴더 안에 재질들이 들어온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0:\00\00\project\00\Assets\Materials]
'Project'창 내 모델 안에 있던 재질들이 생성된 'Material' 폴더 안으로 이동하고, 모델의 'Inspector'창 내 재질들이 설정된 위치에 맞게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Extract Textures... 는 'Textures'폴더가 생성될 것입니다. )
[ 'Extract Materials'버튼 클릭 후 ]
'Project'창에 재질을 선택해 'Inspector'창 내 속성을 확인해 보시면, 추출 전에 재질의 속성과 다르게 추출 후 재질의 속성이 활성화되어 변경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Extract Materials'버튼 클릭 전 | 후 재질활성상태]
이것으로 '스케치업파일 (재질)세팅'이 완료되었습니다!
(스케치업에서 사용할 재질별로 구획해 놓은 후 유니티에서 재질작업을 하시면 됩니다.
사용한 객체별로 사용한 재질이 여러개일 수 있기 때문에 재질별로 관리하는 것이 좀더 편리해요!)
[cf.스케치업파일을 'project'에 불러들이고 세팅하는 이유]
이렇게 스케치업파일을 'project'에 불러들이고 세팅하는 이유는
스케치업과 유니티가 바로바로 연동되기 때문입니다.
(스케치업의 component나 CAD의 blocks과 유사한 개념이라고 보면 돼요.)
유니티에 스케치업 파일을 불러들인 후에, 'project'창에 있는 스케치업파일(Assets 폴더 안에 있는 스케치업 파일)을 우클릭> Open(혹은 더블클릭) 합니다.
그럼 스케치업파일이 열립니다!
[sketchUp 파일 열기]
열린 창에서 일부(재질, 모델 등) 수정하여 저장하고 유니티로 창을 전환하면, 스케치업에서 변경된 사항이 바로 유니티 Scene뷰의 모델에 적용되어 변환된 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스케치업:유니티 연동 ]
[cf.스케치업파일을 'project'에 불러들이고 세팅하는 이유]
-End-
목차
2018/04/04 - [Unity/SketchUp to Unity] - (0) 조감도 이미지 만들기_Intro
다음글
2018/04/02 - [Unity/SketchUp to Unity] - (2) 조감도 이미지 만들기_사실적인 재질로 교체하기_SketchUp에서 Unity로!
'visual > SketchUp to Unity_Arch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티에 들어온 스케치업 파일 보는 법 (1)_Scale Factor (0) | 2018.04.17 |
---|---|
조감도 이미지 만들기 (0)_Intro 유니티 건축시각화 (1) | 2018.04.04 |
조감도 이미지 만들기 (3)_가구넣기_SketchUp에서 Unity로! (1) | 2018.04.03 |
조감도 이미지 만들기 (2)_사실적인 재질로 교체하기_SketchUp에서 Unity로! (0) | 2018.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