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isual/Unity

모델 파일, Inspector>Materials>Location:(Legacy) 설정

by imitme 2018. 3. 31.
반응형

스케치업 파일의 재질파일 설정하는 법 중 Legacy에 대한 설명입니다.


스케치업 모델을 유니티에 불러오면 'inspector'창 내 상단부에 'Materials' 버튼을 클릭하면, 모델 속 재질과 관련된 속성들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진한 회색이 버튼 활성화된 상태입니다.)

['Inspector'창 내 'Materials' : 모델에 사용한 재질리스트 ]




재질과 텍스처파일을 'project'창에서 관리하기 위해,

'Inspector'창 내 'Location : '을 보면 2가지 선택지('Use External Materials (Legacy)' 와 'Use Embedded Materials') 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중 Legacy는 재질관련파일들을 폴더화해 project에 넣어줍니다.

'Use Embedded Materials'에 대한 설명은 아내 글 참조

2018/03/30 - [Unity/SketchUp to Unity] - (1) 조감도이미지 만들기_유니티에서 스케치업파일 세팅하기_SketchUp에서 Unity로!  )



'Inspector'창 내 'Location : '을  'Use External Materials (Legacy)'로 설정합니다.

설정하면 'Inspector'창 일부가 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좌- Location :  Use Embedded Materials  

 |  우- Location : Use External Materials (Legacy)  ]  



여기서 Naming(불러오는 재질의 이름형식)과 Search(불러오는 재질의 위치)의 설정을 개인의 편의에 맞게 변경하여 재질을 Project에 불러들입니다.

'Inspector'창에 'Naming :' 을 'From Model's Material' 로 변경시키고 아래 'Apply'버튼을 눌러줍니다.

( 뭘 선택하든 상관없습니다. 표기에 대한 문제이기 편한대로 사용하세요. 

'From Model's Material'로 설정한 이유는 3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스케치업에서 작업할 때, 재질들의 이름을 어디에 쓰이는 재질인지 구획하는 방식으로 변경해 놓았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었습니다.

-스케치업과 유니티 재질 비교 링크 추가-


두번째는, Naming에 3가지 중 'By Base Texture Name'은 스케치업 재질 파일이름 그대로 넘어와서 (스케치업텍스쳐의 경우)3emnlasdfkljsdf어쩌구 해서 알아볼 수 없고,

'Model Name + Model's Material'은 모델명이 길어지면 실제 재질이름이 짤려보여서 개인적으로 불편헸어요. 대신, 모델들이 많아지는 프로젝트에서는 파일별로 재질을 관리할 수 있을것으로 예상되어 나중에 써보는 걸로!


결정적으로, 나중에 사실적인 표현을 위한 섭스턴스무료재질들을 다운받고 찾아 바꿔줄 것이기에 짧게 모델의 재질이름만 있는것이 좋은거 같아요!

(재질교체관련해서 아래 글 참고

-2018/04/02 - [Unity/SketchUp to Unity] - (2) 조감도 이미지 만들기_사실적인 재질로 교체하기_SketchUp에서 Unity로!)


정리하자면, 상황에 따라 설정하면 될 것 같습니다! )

[ 'project'창에서 스케치업파일 클릭 > Inspector > Materials > Naming : 3가지 옵션

 중 'From Model's Material  선택    후   'Apply' ]



'Apply'버튼 누르고 기다리고 있으면, 'Project'창에  'Materials' 와 'Textures' 라는 폴더가 생성되고 그 폴더 안에 스케치업에서 사용된 재질과 텍스쳐가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 중 'Materials' 폴더 안에 있는 재질들이 앞에서 설정한 Naming형식에 따라 이름이 설정되어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또한, 'Apply'된 이후 'Scene'뷰에 있는 모델이 스케치업에서 설정한 재질에 맞게 들어가 스케치업에서 작업한 모델 모습으로 '고대로~'보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pply' 이후 변경된 모습 ] 



하지만, Unity 2017.2부터 Use Embedded Materials 선택지가 생겼고 기본입니다.

Model Importer: Materials에 대한 자세한 설명 링크



비교했을 때, 사용한 재질을 한눈에 리스트형식으로 볼 수 있고 사용한 재질에 따라 원하는 재질로 편히 바꿔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정리하자면, '재질이 입혀진 객체별로 재질을 관리할것이가' vs '객체의 재질별로 재질을 관리할 것인가' 의 편의 차이? 개인적으로 사용할 재질별로 구별해서 사전작업을 해 놓았기에  Use Embedded Materials 가 사용하기 좀 더 편한 것 같습니다!

2018/03/30 - [Unity/SketchUp to Unity] - (1) 조감도이미지 만들기_유니티에서 스케치업파일 세팅하기_SketchUp에서 Unity로!






목차로 돌아가기

2018/04/04 - [Unity/SketchUp to Unity] - (0) 조감도 이미지 만들기_Intro



반응형

댓글